2025년 달라진 육아휴직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2023년 12월부터 1년간 육아휴직을 썼는데 2025년 육아휴직 정책을 보니 좋은 변화가 이루어졌더라구요.
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통상임금에 상여금이 포함되는지, 소급적용, 사후지급 폐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달라진 육아휴직 제도는?
1.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사후지급 폐지
- 기존의 육아휴직 최대 급여는 월 150만원이였고 25%는 사후지급금으로 복직 6개월 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사후지급이 폐지되고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되어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개편된 내용
📍1~3개월 : 월 250만원
📍4~6개월 : 월 200만원
📍7개월 이후 : 월 160만원
기존에 월 최대 1,800만원을 받았다면 2025년부터는 월 최대 2,310만원 즉, 510만원이 증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복직 6개월 후 사후지급금을 따로 신청해야 하는 번거러움도 사라졌습니다.
2.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급여 인상
📍1~3개월 : 월 250만원 -> 월 300만원
📍4~6개월 : 월 150만원 -> 월 200만원
📍7개월 이후 : 월 150만원 -> 160만원
3. 배우자 출산휴가
법적으로 10일이였던 배우자 출산휴가가 20일로 늘었습니다.
제 경험상 산모가 산후 조리원 들어가기 전 자연분만이라면 3일, 제왕절개면 5일 정도 출산휴가를 썼다가 산후조리원에 가서는 휴가를 아껴두시고 가정으로 아기와 함께 돌아오는 날부터 다시 출산휴가를 쓰시면 더욱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기존에는 출산 90일 이내에 사용해야 했지만 120일 이내로 기간이 늘어났으니 계획있게 휴가를 잘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4. 6+6 부모육아휴직제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게 된다면 첫 달 급여 상한액이 월 200만원 -> 250만원으로 증가됩니다.
1개월차 | 월 최대 250만원 |
2개월차 | 월 최대 300만원 |
3개월차 | 월 최대 350만원 |
4개월차 | 월 최대 400만원 |
5개월차 | 월 최대 450만원 |
6개월차 | 월 최대 500만원 |
최대로 계산해보면 부부가 각각 2,960만원씩 총 5,960만원의 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5. 중소기업 지원 확대
대체인력 및 동료 지원금 확대됩니다.
대체인력 지원금이 월 8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인상되고 동료 업무 분담 지원금이 20만원 지원됩니다.
육아휴직 소급적용
-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제도가 정말 좋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육아휴직을 이미 사용한 사람들도 이전에 사용한 휴직 기간에 대해 인상된 급여가 지급되는지에 대한 소급 적용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저도 육아로 인한 퇴사를 처리하기 전 육아휴직을 남겨둬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었는데요.
2025년 1월 1일(시행일) 이전에 육아휴직을 시작한 경우 1월 1일 이후부터는 인상된 급여가 적용이 됩니다. 하지만 시행일 이전에 육아휴직 기간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소급하여 받을 수 없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의 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급여로 육아휴직 급여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2024년 12월 19일 이전까지는 통상임금에 상여금이 포함되지 않았으나 이후부터는 정기 상여금 또한 통상임금에 적용됩니다. 여기서 불분명한 상여금이 아닌 정기상여금이라는 점 알아두세요!
통상임금 계산 : 기본급+고정 수당(직책수당,근속수당,기술수당)+정기상여금 = 통상임금 적용 총액
2025년 달라진 육아휴직을 알아보았습니다.
급여된 인상으로 인해 육아비용이 걱정인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뀐 육아휴직 제도를 잘 활용하여 출산 후 다시 돌아오지 않을 그 시간을 아이와 함께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육아의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부모가 받는 아동수당, 영아수당, 부모급여 정리하기 (1) | 2025.04.16 |
---|---|
2025년 맞벌이 부모가 알아두면 좋을 돌봄 정책 알아보기 (0) | 2025.04.15 |
육아종합지원센터 장난감 도서관 대여 방법, 기간 및 유의사항 알아보기 (4) | 2025.04.11 |
첫만남 이용권 신청방법과 지급일 및 사용처 (2) | 2025.04.02 |
2025 임신 관련 서비스 통합 처리 신청 방법 및 혜택 (1) | 2025.03.31 |